카테고리 없음

산업안전보건 법령 등 법규 찾는 방법

IM레나 2024. 2. 23. 15:17
반응형

안녕하세요, 너무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쓰네요 허허 :'(

그동안 업무가 너무 바쁘고 정신없이 일만 하다 보니, 정리해놔야 할 것들이 많은데 못하고 있습니다.

그래도 이제 매뉴얼 작업은 끝났고 현장에서 쓸수있는 규정집을 만드는 중이에요.

앞으로 할일 (지침에 화장실관련된 사항 업데이트, 굴착계획서 예시로 트렌치 굴착 작업계획 그리고 상황별 비상훈련시나리오 1~2개, 크레인 교육(관리자/근로자)) 이거 말고도 사실 끝도 없이 할게 많네요 아우

 

**본문**

본 포스팅은 산업안전보건법, 시행규칙, 관련 고시 등 여러 법률을 찾고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 입니다.

업무 중 여러 법률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참 많은데,

조금...(?) 놀랍게도, 관계법령이나 제개정사항 등을 찾고 확인하는 걸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은근히 있으시더라요.

아주 기초적인 사항만 올려드리니,

아무리 봐도 모르겠고 법령 확인하는 게 너~~~무 어렵다 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!

 

 

 

 

*법령집 확인

 

1. 국가법령정보센터

 

 

**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검색

 

2. 고용노동부 정보공개 - 법령정보

 

 

*고용노동부 홈페이지의 정보공개 > 법령정보에서 확인

 

3.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마당

 

*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- 자료마당 - 법령/고시

 

4.  구글검색

 

**구글에서 법령이름 검색 (가장 애용하는 방법)

 

 

 

*법령 제정, 개정사항 확인

 

1. 노동부사이트 법령정보 - 최근체개정법령에서 확인

 

2. 법령 화면 메뉴에서 확인

 

법령 위쪽 메뉴에 제정/개정이유 클릭하면,  제개정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3.  기존 법령과 비교 확인

 

 

 

*신구법비교 메뉴를 통해

변경된 사항을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*과거 법령 확인

1. 법령 상단 메뉴에서 연혁 확인

 

 

2. 별표서식 연혁 확인

 

 

 

 

 

*법령체계 

 

 

 

법 - 시행령 - 시행규칙 - 행정규칙 (~~ 고시) 

요 순서로 이뤄져 있다는 것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.

 

(법바다 영까지만 있는지, 규칙까지 있는지, 세부 고시에는 뭐가 있는지, 시도 조례 등등 확인하기 편해요)

 

 

* 실례

 

1. 영 별표 13, 규칙 제2조 등으로 기재된 사항 찾기

 

법령을 보다 보면,  '대통령령으로 정하는' 또는 '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' , '법 제64조제2항에 따라'라는 표현을 볼 수 있는데요.

 

시행령 (대통령령)

시행규칙 (고용노동부령)를 뜻하는 것입니다.

 

예를 들어 산업안전보건법 제64조 (도급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조치)

제64조(도급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조치) ① 도급인은 관계수급인 근로자가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이행하여야 한다. <개정 2021. 5. 18.>
1. 도급인과 수급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
2. 작업장 순회점검
3. 관계수급인이 근로자에게 하는 제29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을 위한 장소 및 자료의 제공 등 지원
4. 관계수급인이 근로자에게 하는 제29조제3항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의 실시 확인
5.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 대비한 경보체계 운영과 대피방법 등 훈련
가. 작업 장소에서 발파작업을 하는 경우
나. 작업 장소에서 화재ㆍ폭발, 토사ㆍ구축물 등의 붕괴 또는 지진 등이 발생한 경우
6. 위생시설 등 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시설의 설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장소의 제공 또는 도급인이 설치한 위생시설 이용의 협조
7.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도급인과 관계수급인 등의 작업에 있어서 관계수급인 등의 작업시기ㆍ내용,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 등의 확인
8. 제7호에 따른 확인 결과 관계수급인 등의 작업 혼재로 인하여 화재ㆍ폭발 등 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관계수급인 등의 작업시기ㆍ내용 등의 조정
② 제1항에 따른 도급인은 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의 근로자 및 관계수급인 근로자와 함께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작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점검을 하여야 한다.
③ 제1항에 따른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 구성 및 운영, 작업장 순회점검, 안전보건교육 지원,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 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.

 

- '제29조 제3항'으로만 표시된 것은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를 지시

- 6조와 8조에 '고용노동부령'으로 표시된 것은 동법 시행규칙 =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

- 8조에 '대통령령'으로 표시된 것은 동법 시행령 =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을 뜻합니다.

 

반대로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보면

 

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53조의 2에서는 '법 제64조제1항'

제53조의2(도급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조치)  제64조제1항제8호에서 “화재ㆍ폭발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”란 다음 각 호의 경우를 말한다.

 

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81조에서는 '법 제64조제1항'

제81조(위생시설의 설치 등 협조)   제64조제1항제6호에서 “위생시설 등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시설”이란 다음 각 호의 시설을 말한다.

 

 

법 제00조 제00항의 형식으로 법을 가리키고 있고 있습니다.

(여기서 법 제64조 가 아닌 제64조라고 적으면, 시행규칙/시행령 등 을 의미하겠죠? ㅎㅎ)

 

 

 

EX)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 위험물질의 종류 찾기

 

기준에 관한 규칙에 위험물질 중 인화성 가스 항목을 보면 '영 별표13에 따른 인화성 가스'라고 되어 있습니다.

 

 

위에서 영은 시행령 이었으니,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 13을 확인하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2. 어느 법령을 찾아야 하는지 잘 모르겠는 경우

 

OPS나, 여러 자료들을 보다 보면, 이런 내용이 법에도 있나? 어느 법에 있는 건지?

이러한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.

 

위에는 공단 가스용접장치 OPS 일부분인데요.

많이들 보셨을 가스용기 안전수칙입니다.

위에 보면 여러 사항들이 있는데, OPS이다 보니 근거가 따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죠.

 

이럴 때는 가장 추천드리는 게

 

1. 구글 검색

 

구글에 '가스용기 안전'이라고 검색하면,

여러 사이트, 블로그 등등 관계 법령까지 정리된 글들이 많이 있습니다.

가장 빠르고 간편한 방법입니다. 

 

(참고하실 때 게시일자 확인 - 개정 전 법령일 수도 있음!)

 

 

2. 법령정보센터 '단어'로 검색

 

'산소', '고압가스' 등 특정한 항목에 대해 찾고 싶을 때

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해당 단어를 검색하시고 조문내용/조문제목을 확인하면 연관성이 높은 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 

'산소'로 검색하면

 

 

 

 

위와 같이 관련 법령이 나오는데,

이 경우에는 1,2,4는 관련이 없고 3번 '고압가스 안전관리법' 정도 확인 해보면 됩니다.

 

--고압가스 안전관리법 클릭하면

 

 

해당 조문이 나옵니다.

 

고압가스 제20조 사용신고 등

제1항 수소, '산소',.....

그리고 제3항에 보면 산업통상자원부령에서 시설기준과 기술기준을 정하고 있다고 하네요

 

산업통상자원부령 = 시행규칙 별표 8로 시설기준과 기술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별표 8의 내용 확인

용기보관장소의 온도, 넘어짐 방지 등등 안전기준이 명시되어 있습니다.

 

 

3. 노동부, 공단 질의하기

법령을 샅샅이 살펴보아도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

우리 사업장에 적용하기 애매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 

질의하시는 게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!

 

단순히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라면,

안전보건공단에 질문하시면,

대부분 친절하게 응답해 드리니 참고하세요 :)

 

 

 

*주소창에서 간단하게 해당 법령 이동

 

산업안전보건법 법령 들어가면 위에처럼 주소에 한글로 되어있는데,

 

뒤에 시행규칙만 추가해서 이동하면

시행규칙으로 이동됩니다~

 

소방기본법처럼 산안법 아니어도 되고요.

 

 

-단 ~~~ 지침은 행정규칙이라는 점

 

 

 

 

 

 

원래 작성하려던 내용이 있었는데 취소하고 간단하게만 작성해 봅니다.

만약 안전분야를 처음 접하여서 많은 법령이 눈에 안 들어오신다면,

법규준수표/법규등록부를 먼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
보통 본사에서 보유하고 업데이트하고 있기 때문에 요청하시면 되고

회사에서 전혀 지원이 안되고 있다 하면

직접작성 또는 인터넷에 있는 여러 자료들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~!

 

 

2023.11.17 - [안전보건/산업안전보건] - 안전보건 법규준수 /법규등록부, 법규준수평가 (2023.11)

 

안전보건 법규준수 /법규등록부, 법규준수평가 (2023.11)

(2023.11.17 작성) 본 게시글의 순서 -법규 및 준수평가 규정 본문 -법규 등록부 예시 파일첨부 -법규준수평가 예시 파일첨부 법규 및 준수평가 규정 1. 목적 본 규정은 당사의 업무와 관련된 안전보

imlena.tistory.com

 

> 작년 11월 게시글이라 UPDATE가 필요

 

 

 

 

 

이상 안전보건 관계법령 찾는 방법이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관련사이트:

1. 국가법령정보센터: https://www.law.go.kr/LSW/main.html

2. 고용노동부:  https://www.moel.go.kr/index.do

3. 안전보건공단: https://www.kosha.or.kr/kosha/index.do

 

 

 

 

반응형